함께 세우는 하나님 나라_로마서 15:22-33
- HKPC
- Oct 10
- 3 min read
22 그러므로 또한 내가 너희에게 가려 하던 것이 여러 번 막혔더니
23 이제는 이 지방에 일할 곳이 없고 또 여러 해 전부터 언제든지 서바나로 갈 때에 너희에게 가기를 바라고 있었으니
24 이는 지나가는 길에 너희를 보고 먼저 너희와 사귐으로 얼마간 기쁨을 가진 후에 너희가 그리로 보내주기를 바람이라
25 그러나 이제는 내가 성도를 섬기는 일로 예루살렘에 가노니
26 이는 마게도냐와 아가야 사람들이 예루살렘 성도 중 가난한 자들을 위하여 기쁘게 얼마를 연보하였음이라
27 저희가 기뻐서 하였거니와 또한 저희는 그들에게 빚진 자니 만일 이방인들이 그들의 영적인 것을 나눠 가졌으면 육적인 것으로 그들을 섬기는 것이 마땅하니라
28 그러므로 내가 이 일을 마치고 이 열매를 그들에게 확증한 후에 너희에게 들렀다가 서바나로 가리라
29 내가 너희에게 나아갈 때에 그리스도의 충만한 복을 가지고 갈 줄을 아노라
30 형제들아 내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의 사랑으로 말미암아 너희를 권하노니 너희 기도에 나와 힘을 같이하여 나를 위하여 하나님께 빌어
31 나로 유대에서 순종하지 아니하는 자들로부터 건짐을 받게 하고 또 예루살렘에 대하여 내가 섬기는 일을 성도들이 받을 만하게 하고
32 나로 하나님의 뜻을 따라 기쁨으로 너희에게 나아가 너희와 함께 편히 쉬게 하라
33 평강의 하나님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계실지어다 아멘
어떤 사역이든 혼자서는 할 수 없습니다. 아무리 뛰어난 은사와 열정이 있더라도, 하나님 나라의 일은 늘 ‘함께’해야만 이루어집니다. 바울은 오늘 본문에서 자신의 선교 여정을 설명하면서, 이 사역이 자기 혼자만의 일이 아님을 강조합니다. 그는 항상 공동체와 함께 움직였고, 복음도 공동체적으로 전하며, 하나님 나라도 그렇게 함께 세워져야 한다고 믿었습니다. 삼위일체 하나님이 언제나 ‘함께’ 역사하시는 것처럼, 바울의 선교는 연결과 연대, 협력과 기도로 이루어진 공동체 사역이었습니다.
바울은 지금 세 가지 여정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첫째, 지금은 고린도에서 예루살렘으로 가는 중입니다. 둘째, 이후에는 로마를 방문할 계획입니다. 셋째, 그곳에서 다시 서쪽으로 스페인까지 가기를 원하고 있습니다(24, 28절). 단순한 여행 계획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 여정에서 우리는 바울의 열정과 사랑, 비전을 발견합니다.
먼저, 바울의 열정과 공동체를 향한 깊은 사랑을 볼 수 있습니다. 그는 예루살렘을 향해 가면서, 마게도냐와 아가야 교회가 모은 구제 헌금을 전달하려 합니다(25〜27절). 이 헌금은 유대인 신자들과 이방인 신자들 사이의 벽을 허물기 위한 연합과 섬김의 상징적 행위였습니다. 단순히 물질적인 도움이 아니라 영적 빚을 갚는 차원이었습니다. “이방인들이 그들의 영적인 것을 나눠 가졌으면 육적인 것으로 그들을 섬기는 것이 마땅하니라”(27절)는 말처럼, 바울은 복음의 연대성을 실제적 나눔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오늘날에도 이 모습은 놀랍도록 현실적입니다. 사역의 자립이 어려운 교회, 주일학교가 없어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들을 수 없는 교회, 수련회나 성경학교조차 혼자서는 진행할 수 없는 교회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합하면 가능합니다. 작은 교회가 연합하고, 교회와 교회가 서로 협력할 때, 마게도냐와 아가야처럼 함께 하나님 나라를 세우는 공동체적 선교의 기쁨을 누릴 수 있습니다.
그다음, 하나님 나라에 대한 바울의 비전을 볼 수 있습니다. 바울은 로마 교회 성도들과 교제하길 원했습니다(24절). 여기서 교제는 하나님이 그들에게 베푸신 구원의 은혜를 들으면서 그들의 믿음을 견고케 하고, 자신의 선교 계획도 알려 주어 그들도 참여하게 하는 것입니다. 바울은 이들이 여비를 마련해 주고 동역자를 보내 주는 등 적극적으로 선교에 동참하기를 원했습니다. 바울은 이를 통해 로마 교회가 단지 방문의 대상이 아니라, 선교의 파트너가 되기를 바랐던 것입니다. 오늘날에도 우리가 기도와 물질, 인적 자원을 통해 선교지와 교회를 후원할 때, 2000년이 더 지난 지금도 우리는 바울의 사역에 동참하는 것과 같은 은혜를 누리게 됩니다.
이 모든 여정 가운데 바울이 가장 강조하는 것은 바로 기도입니다. 그는 자신의 안전과 사역의 열매를 위해 기도를 요청하면서도(30절), 그 모든 기도의 응답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이루어지기를 원했습니다(32절). 기도는 단지 응답을 받아내는 수단이 아니라, 우리의 뜻이 하나님의 뜻에 맞춰지는 과정임을 그는 잘 알고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바울은 이렇게 축복합니다. “평강의 하나님께서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 계실지어다”(33절). 여기서 그는‘너희와 함께’가 아니라 ‘너희 모든 사람과 함께’라고 말합니다. 각기 다른 배경과 성향을 가진 모든 성도가 하나님의 평강 안에서 함께 연합하기를 바라는 바울의 깊은 목회적 마음이 느껴지는 대목입니다.
우리 삶과 사역이 하나님 나라를 ‘함께’ 세우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소망합니다. 혼자보다는 공동체와 함께 다른 이들을 섬기는 사역을 이어가길 권면합니다. 또 기도와 연대 안에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 가는 선교적 공동체의 일원으로 살기를 바랍니다. 복음은 함께 걷는 길이고 연결은 하나님 나라가 세워지는 전략입니다. 우리의 기도와 한 걸음이 누군가 복음을 체험하는 통로가 되기를 소원합니다.
.png)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