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우리의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_로마서 2:17-29


     

17 유대인이라 불리는 네가 율법을 의지하며 하나님을 자랑하며

18 율법의 교훈을 받아 하나님의 뜻을 알고 지극히 선한 것을 분간하며

19 맹인의 길을 인도하는 자요 어둠에 있는 자의 빛이요

20 율법에 있는 지식과 진리의 모본을 가진 자로서 어리석은 자의 교사요 어린 아이의 선생이라고 스스로 믿으니

21 그러면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네가 네 자신은 가르치지 아니하느냐 도둑질하지 말라 선포하는 네가 도둑질하느냐

22 간음하지 말라 말하는 네가 간음하느냐 우상을 가증히 여기는 네가 신전 물건을 도둑질하느냐

23 율법을 자랑하는 네가 율법을 범함으로 하나님을 욕되게 하느냐

24 기록된 바와 같이 하나님의 이름이 너희 때문에 이방인 중에서 모독을 받는도다

25 네가 율법을 행하면 할례가 유익하나 만일 율법을 범하면 네 할례는 무할례가 되느니라

26 그런즉 무할례자가 율법의 규례를 지키면 그 무할례를 할례와 같이 여길 것이 아니냐

27 또한 본래 무할례자가 율법을 온전히 지키면 율법 조문과 할례를 가지고 율법을 범하는 너를 정죄하지 아니하겠느냐

28 무릇 표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 아니요 표면적 육신의 할례가 할례가 아니니라

29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 할례는 마음에 할지니 영에 있고 율법 조문에 있지 아니한 것이라 그 칭찬이 사람에게서가 아니요 다만 하나님에게서니라

     

  사도 바울은 오늘 본문에서 유대인의 종교적 특권과 외적 신앙 행위에 대해 날카로운 경고를 전합니다. 바울의 경고를 우리에게 대입할 때, 외적 조건이 아닌 마음의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 앞에서 그분의 뜻대로 실천할 것을 다시 새롭게 결단할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마음의 변화와 내면의 순종을 원하십니다. 당시 유대인들은 자신들이 하나님께 선택받은 민족이라는 자부심이 있었습니다(17절). 자신들이 어리석은 자의 교사요 어린아이의 선생이라고 여겼습니다(20절). 그러나 바울은 그들이 남을 가르치면서도 정작 자신은 그 가르침 대로 살지 않음을 지적합니다. 이는 겉모습은 경건해 보이나, 실제 삶에는 열매가 없는 신앙에 대한 경고입니다. 바울은 할례를 예로 들어 마음의 진정한 변화를 강조합니다. 29절은 본문의 클라이맥스로, 바울은 “오직 이면적 유대인이 유대인이며 할례는 마음에 할지니 영에 있고 율법 조문에 있지 아니한 것이라”고 선포합니다. ‘이면적’이라는 단어는 ‘숨겨진’, ‘내면의’라는 뜻으로, 외적 종교 행위가 아닌 마음 중심의 진실한 신앙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바울은 육신에 행하는 할례보다 성령에 의해 마음에 새겨진 할례가 본질이라고 강조합니다. 구약의 율법도 “너희 마음에 할례를 행하라”고 명령하고 있습니다(신 10:16; 30:6). 1세기 유대 사회는 율법 중심의 경건 생활을 매우 중시했습니다. 할례는 하나님이 아브라함과 맺으신 약속의 표시였고, 유대인들은 그것을 자신들의 믿음과 정체성을 보여 주는 중요한 상징으로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이 시기에는 형식적이고 외형적인 종교의식에만 머무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종교 지도자들은 율법을 지키는 행위에만 집중했지, 정작 율법의 근본 정신과 하나님과의 관계에는 무감각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러한 위선적 경건은 예수님 시대의 바리새인과 서기관들에 대한 책망에서도 반복적으로 드러납니다(마23장). 바울은 유대인의 이러한 태도로 하나님의 이름이 이방인들 가운데 모독당한다고 지적합니다(24절). 이는 이사야 52:5을 인용한 것으로, 당시 이방인들이 유대인의 삶을 보며 오히려 하나님의 이름을 경멸했다는 사실을 반영합니다.

  우리는 성령으로 마음에 할례를 받아야 합니다. 본문에서 말하는 ‘성령에 의한 할례’(29절)는 단순한 신념의 변화가 아니라, 삶 전체가 성령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뜻합니다. 마음 중심에서부터 하나님의 뜻을 따르고자 하는 순종과 경건의 열매가 나타나는 삶입니다. 하나님은 그 마음의 중심을 보시며 칭찬하십니다. 여기서 ‘칭찬’으로 번역된 단어는 ‘인정받음’, ‘칭찬’, ‘영광’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께 인정받는 삶을 뜻합니다. 바울은 갈라디아서 1:10에서도 “내가 사람들에게 좋게 하랴 하나님께 좋게 하랴”라고 말하며, 성도의 기준은 하나님의 평가와 인정임을 보여 줍니다. 오늘 본문은 외형적 종교 활동에 익숙한 우리를 일깨우는 강력한 메시지입니다. 교회 출석, 직분, 헌금, 봉사 등도 중요하지만, 그것이 성령에 감동되어 우러나온 순종이 아니라면 하나님 앞에서 의미 없는 행위일 수 있습니다. 특별히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살아가는 다음 세대는 말보다 삶, 형식보다 진정성, 외면보다 내면을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복음의 능력이 나타나기 위해 성령의 역사로 변화된 삶이 뒤따라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자녀들에게 “기도하라”고 가르치기 전에 부모가 먼저 기도해야 합니다. “정직하라”고 말하기 전에 우리가 손해를 보더라도 정직함을 택해야 합니다. 이러한 삶을 통해 복음의 능력이 나타납니다.

  하나님은 외모가 아닌 마음의 중심을 보십니다. 우리는 언제나 하나님의 시선 앞에서 진실하게 살아야 합니다. 오늘도 성령의 인도하심을 따라, 말과 행실과 마음의 중심에서 하나님의 뜻을 따를 때 하나님께 칭찬받는 복된 인생이 될 줄 믿습니다.

Recent Posts

See All
온 세상의 왕으로 오시는 하나님_스가랴 14:9-15

9 여호와께서 천하의 왕이 되시리니 그 날에는 여호와께서 홀로 한 분이실 것이요 그의 이름이 홀로 하나이실 것이라 10 온 땅이 아라바 같이 되되 게바에서 예루살렘 남쪽 림몬까지 이를 것이며 예루살렘이 높이 들려 그 본처에 있으리니 베냐민 문에서부터 첫 문 자리와 성 모퉁이 문까지 또 하나넬 망대에서부터 왕의 포도주 짜는 곳까지라 11 사람이 그 가운데에

 
 
 
생명의 강이 흐르는 주님의 날_스가랴 14:1-8

1 여호와의 날이 이르리라 그 날에 네 재물이 약탈되어 네 가운데에서 나누이리라 2 내가 이방 나라들을 모아 예루살렘과 싸우게 하리니 성읍이 함락되며 가옥이 약탈되며 부녀가 욕을 당하며 성읍 백성이 절반이나 사로잡혀 가려니와 남은 백성은 성읍에서 끊어지지 아니하리라 3 그 때에 여호와께서 나가사 그 이방 나라들을 치시되 이왕의 전쟁 날에 싸운 것 같이 하시

 
 
 
정금으로 연단하시는 하나님의 은혜_스가랴 13:1-9

1 그 날에 죄와 더러움을 씻는 샘이 다윗의 족속과 예루살렘 주민을 위하여 열리리라 2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에 내가 우상의 이름을 이 땅에서 끊어서 기억도 되지 못하게 할 것이며 거짓 선지자와 더러운 귀신을 이 땅에서 떠나게 할 것이라 3 사람이 아직도 예언할 것 같으면 그 낳은 부모가 그에게 이르기를 네가 여호와의 이름을 빙자하여 거짓말을 하니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