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모두 죄 아래 있습니다_로마서 3:9-20
- HKPC
- 2 days ago
- 3 min read
9 그러면 어떠하냐 우리는 나으냐 결코 아니라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다 죄 아래에 있다고 우리가 이미 선언하였느니라
10 기록된 바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
11 깨닫는 자도 없고 하나님을 찾는 자도 없고
12 다 치우쳐 함께 무익하게 되고 선을 행하는 자는 없나니 하나도 없도다
13 그들의 목구멍은 열린 무덤이요 그 혀로는 속임을 일삼으며 그 입술에는 독사의 독이 있고
14 그 입에는 저주와 악독이 가득하고
15 그 발은 피 흘리는 데 빠른지라
16 파멸과 고생이 그 길에 있어
17 평강의 길을 알지 못하였고
18 그들의 눈 앞에 하나님을 두려워함이 없느니라 함과 같으니라
19 우리가 알거니와 무릇 율법이 말하는 바는 율법 아래에 있는 자들에게 말하는 것이니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 있게 하려 함이라
20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 그의 앞에 의롭다 하심을 얻을 육체가 없나니 율법으로는 죄를 깨달음이니라
앞서 1~2장에서 바울은 유대인과 이방인의 죄를 언급했습니다. 그러니 3장의 결론은 무엇이겠습니까? 바로 모든 사람이 죄인이라는 것입니다. 바울의 이 지적은 우리에게도 해당합니다. 우리 자신이 죄인이라는 자각은 매우 중요합니다. 죄인임을 인정해야 자신의 공로를 내세우지 않고, 오직 복음을 의지할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바울은 모두가 죄 아래에 있다고 선언합니다(9절). 이는 하나님 앞에 있는 인간의 근원적 상태에 대한 진단입니다. 바울은 1장에서는 이방인의 죄를, 2장에서는 유대인의 죄를 낱낱이 밝힌 후, 3장에 이르러 ‘모든 사람’이 죄 아래 있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이때 ‘죄 아래 있다’라는 표현은 죄가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인간이 본질적으로 죄의 지배 아래 놓여 있는 상태, 곧 죄의 권세 아래 있음을 의미합니다. 10~18절에서 바울은 구약 말씀을 연속적으로 인용해 인간의 타락상을 구체적으로 묘사합니다. 이 인용은 대부분 시편과 이사야서에서 나왔으며, 바울은 이 구절들을 마치 법정에 증거를 제시하듯 차례로 배치합니다. “의인은 없나니 하나도 없으며”(시 14:1~3), “그들의 목구멍은 열린 무덤”(시 5:9), “그 발은 피 흘리는 데 빠른지라”(사 59:7-8), “그들의 눈앞에 하나님을 두려워함이 없느니라”(시 36:1). 이 구절들은 인간의 마음, 입술, 행동, 관계 등 전인격이 죄로 오염되어 있음을 보여 줍니다. 이 구절들은 인간이 스스로 의롭게 설 수 없는 이유를 분명히 드러냅니다.
죄의 뿌리는 하나님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입니다. 죄는 단순한 도덕적, 윤리적 잘못이 아니라, 하나님을 삶의 주인으로 인정하지 않고 자기 자신이 기준이 되려는 것입니다. 칼뱅(Calvin)은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은 우리의 사악함을 견제하는 굴레이므로, 그 경외심이 사라질 때 우리는 온갖 종류의 방탕한 생활에 거침없이 탐닉하게 된다”라고 말했습니다. 이 점에서 바울의 진단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깊은 울림을 줍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절대 진리를 부정하고, 각자의 관점과 경험을 진리처럼 여깁니다. “내가 옳다고 느끼면 그게 옳다”라는 논리가 널리 퍼진 세상에서는 죄에 대한 말조차 ‘편견’이나 ‘억압’처럼 들립니다. 과거에는 ‘죄’라는 단어에 죄책감을 느꼈지만, 이제는 죄라는 개념 자체를 불쾌하게 여깁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죄에 대해 분명히 말씀하십니다. 죄의 자각 없이는 진정한 회복도 없고, 죄의 고백 없이는 십자가의 은혜도 알 수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 본문은 죄인인 우리가 살기 위해서는 예수님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우리의 입술, 행동, 마음 중심까지 모두 죄로 오염되었기에, 어떤 선한 행동이나 율법적 노력으로도 하나님 앞에 설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는 모든 입을 막고 온 세상으로 하나님의 심판 아래에 있게 하려 함이라”(19절). NIV는 “So that every mouth may be silenced and the whole world held accountable to God” 이라 번역합니다. 하나님 앞에 서면 인간은 아무 핑계도 할 수 없고, 오직 하나님의 은혜만을 의지해야 함을 보여 줍니다.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오늘의 본문이 던지는 질문은 분명합니다. 여러분은 정말 죄를 죄로 인정하고 있습니까? 우리는 하나님을 두려워할 줄 알아야 합니다. 자기 기준과 감정에 따라 살아서는 안 됩니다. 우리의 노력과 의로움은 구원에 하등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자신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은 복음으로 나아가는 출발점입니다. 어떤 죄보다 하나님의 은혜가 더 큽니다(5:20). 오늘도 우리의 말과 생각, 행동을 말씀 앞에 정직하게 비춰 봅시다. 우리의 입술이 살리는 말이 아닌 정죄의 말로 가득 차 있진 않았는지, 그동안 하나님을 두려워하기보다는 세상 눈치를 보며 타협하지 않았는지 돌아봅시다. 그리고 그 모든 죄를 사하시고 용서해 주시는 예수님 앞으로 나아갑시다. 우리가 죄인이라는 진실을 마주하고 받아들일 때, 예수님의 십자가는 가장 큰 소망과 능력이 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