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나 그들의 기쁨 되기 원하네_로마서 15:1-13


     

1 믿음이 강한 우리는 마땅히 믿음이 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

2 우리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선을 이루고 덕을 세우도록 할지니라

3 그리스도께서도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나니 기록된 바 주를 비방하는 자들의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함과 같으니라

4 무엇이든지 전에 기록된 바는 우리의 교훈을 위하여 기록된 것이니 우리로 하여금 인내로 또는 성경의 위로로 소망을 가지게 함이니라

5 이제 인내와 위로의 하나님이 너희로 그리스도 예수를 본받아 서로 뜻이 같게 하여 주사

6 한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

7 그러므로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받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심과 같이 너희도 서로 받으라

8 내가 말하노니 그리스도께서 하나님의 진실하심을 위하여 할례의 추종자가 되셨으니 이는 조상들에게 주신 약속들을 견고하게 하시고

9 이방인들도 그 긍휼하심으로 말미암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심이라 기록된 바 그러므로 내가 열방 중에서 주께 감사하고 주의 이름을 찬송하리로다 함과 같으니라

10 또 이르되 열방들아 주의 백성과 함께 즐거워하라 하였으며

11 또 모든 열방들아 주를 찬양하며 모든 백성들아 그를 찬송하라 하였으며

12 또 이사야가 이르되 이새의 뿌리 곧 열방을 다스리기 위하여 일어나시는 이가 있으리니 열방이 그에게 소망을 두리라 하였느니라

13 소망의 하나님이 모든 기쁨과 평강을 믿음 안에서 너희에게 충만하게 하사 성령의 능력으로 소망이 넘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우리는 자기중심적인 삶에 익숙합니다. 직장도, 인간관계도, 심지어 신앙까지 내가 만족하지 않으면 거리를 두고 내가 기쁘지 않으면 헌신하지 않습니다. 오늘 본문은 바로 이러한 ‘자기중심성’에 도전하며 복음으로 변화된 자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삶의 기준을 제시합니다.

  새로운 삶의 기준은 ‘공동체’입니다. 자기 자신이 아닙니다. 신앙 공동체인 교회 안에서, 강한 자는 연약한 자의 무게를 함께 지고 걸어야 합니다. 바울은 이렇게 권면합니다. “믿음이 강한 우리는 마땅히 믿음이 약한 자의 약점을 담당하고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할 것이라”(1

절). 여기서 ‘담당하고’라는 단어는 무거운 짐을 함께 짊어지며 나아가는 것을 뜻합니다. 마태복음 8:17에서는 예수님이 우리의 병과 연약함을 ‘짊어지셨다’라고 할 때 사용되었고, 누가복음 7:14에서는 시신의 관을 메는 장면에서도 같은 단어가 쓰입니다. 바울은 이어서 “각 사람이 이웃을 기쁘게 하되 선을 이루고 덕을 세우도록 할지니라”(2절)고 권합니다. 이 구절은 단순히 ‘남을 기쁘게 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상대방의 유익을 위해 나의 자유와 권리를 절제할 줄 아는 삶, 그것이 공동체를 세우는 사랑의 방식이라는 뜻입니다. 나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공동체를 기준으로 삼는 삶, 이것이 구원받은 성도들의 새로운 삶의 기준입니다. 그리고 그 삶의 이유는 분명합니다. ‘그리스도께서도 자기를 기쁘게 하지 아니하셨기 때문’입니다(3절). 예수님은 누구보다 자신을 기쁘게 할 자격이 있는 분이었지만, 스스로를 비우시고 낮아지셨습니다. 바울은 시편 69:9을 인용해 말합니다. “주를 비방하는 자들의 비방이 내게 미쳤나이다.” 예수님은 하나님의 뜻과 영광을 위해 스스로 수치를 감당하셨습니다. 이처럼 그리스도의 삶은 자기희생의 삶, 타인에게 헌신하는 삶이었습니다. 우리도 그러한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공동체를 기준으로 사는 삶의 목적은 ‘하나님의 영광’입니다. 사랑하고 희생하는 삶에 관해 바울은 이렇게 말합니다. “한마음과 한 입으로 하나님 곧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께 영광을 돌리게 하려 하노라”(6절). 하나님이 원하시는 공동체는 ‘한 입’으로 노래하는 공동체입니다. 곧 강한 자와 약한 자, 유대인과 이방인, 세대와 문화가 다른 이들이 서로를 받아들이고 같은 입술로 하나님을 찬양하는 연합 예배 공동체를 이루는 것입니다. 이 말씀은 오늘 우리의 교회 현실에도 깊은 통찰을 줍니다. 세대 차이, 신앙표현의 차이, 문화 차이가 교회 안에서 거리감과 판단을 만들 때, 우리는 다시금 기억해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받아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심과 같이 너희도 서로 받으라”(7절). 이 명령의 궁극적 이유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입니다.

  바울은 여기서 시선을 더 넓혀, 유대인과 이방인의 하나됨까지 나아갑니다. 예수님은 유대인에게는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신실함으로, 이방인에게는 긍휼하심으로 오셨다고 합니다(8~9절). 그리스도께서는 단지 개인의 구세주가 아니라, 서로 다른 민족과 배경을 아우르는 하나님의 구속 계획의 완성자이십니다. 그리고 그 모든 구원 여정의 끝은 모든 민족, 모든 세대, 모든 언어가 하나 되어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리입니다.

  우리는 하나님께 구원받은 그분의 백성입니다. 따라서 그분이 통치하시는 대로 따라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가 자신만의 기쁨을 추구하며 살길 바라지 않으십니다. 우리가 서로 연약한 지체의 짐을 함께 짊어지고, 공동체를 믿음으로 세워 나가기를 바라십니다.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사는 것이 우리에게 복입니다. 그리스도를 본받아 희생하고 절제할 때, 하나님 나라가 세워지고 우리를 거룩한 산 제물로 올려 드리는 참된 예배가 가능해집니다. 그럴 때, 소망의 하나님이 기쁨과 평강으로 충만하게 하시는 은혜를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13절).

Recent Posts

See All
생명의 강이 흐르는 주님의 날_스가랴 14:1-8

1 여호와의 날이 이르리라 그 날에 네 재물이 약탈되어 네 가운데에서 나누이리라 2 내가 이방 나라들을 모아 예루살렘과 싸우게 하리니 성읍이 함락되며 가옥이 약탈되며 부녀가 욕을 당하며 성읍 백성이 절반이나 사로잡혀 가려니와 남은 백성은 성읍에서 끊어지지 아니하리라 3 그 때에 여호와께서 나가사 그 이방 나라들을 치시되 이왕의 전쟁 날에 싸운 것 같이 하시

 
 
 
정금으로 연단하시는 하나님의 은혜_스가랴 13:1-9

1 그 날에 죄와 더러움을 씻는 샘이 다윗의 족속과 예루살렘 주민을 위하여 열리리라 2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그 날에 내가 우상의 이름을 이 땅에서 끊어서 기억도 되지 못하게 할 것이며 거짓 선지자와 더러운 귀신을 이 땅에서 떠나게 할 것이라 3 사람이 아직도 예언할 것 같으면 그 낳은 부모가 그에게 이르기를 네가 여호와의 이름을 빙자하여 거짓말을 하니

 
 
 
애통함으로 이루어지는 회복_스가랴 12:1-14

1 이스라엘에 관한 여호와의 경고의 말씀이라 여호와 곧 하늘을 펴시며 땅의 터를 세우시며 사람 안에 심령을 지으신 이가 이르시되 2 보라 내가 예루살렘으로 그 사면 모든 민족에게 취하게 하는 잔이 되게 할 것이라 예루살렘이 에워싸일 때에 유다에까지 이르리라 3 그 날에는 내가 예루살렘을 모든 민족에게 무거운 돌이 되게 하리니 그것을 드는 모든 자는 크게 상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