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깊은 어둠 속에서도_시편 88:1-18


     

1 여호와 내 구원의 하나님이여 내가 주야로 주 앞에서 부르짖었사오니

2 나의 기도가 주 앞에 이르게 하시며 나의 부르짖음에 주의 귀를 기울여 주소서

3 무릇 나의 영혼에는 재난이 가득하며 나의 생명은 스올에 가까웠사오니

4 나는 무덤에 내려가는 자 같이 인정되고 힘없는 용사와 같으며

5 죽은 자 중에 던져진 바 되었으며 죽임을 당하여 무덤에 누운 자 같으니이다 주께서 그들을 다시 기억하지 아니하시니 그들은 주의 손에서 끊어진 자니이다

6 주께서 나를 깊은 웅덩이와 어둡고 음침한 곳에 두셨사오며

7 주의 노가 나를 심히 누르시고 주의 모든 파도가 나를 괴롭게 하셨나이다 (셀라)

8 주께서 내가 아는 자를 내게서 멀리 떠나게 하시고 나를 그들에게 가증한 것이 되게 하셨사오니 나는 갇혀서 나갈 수 없게 되었나이다

9 곤란으로 말미암아 내 눈이 쇠하였나이다 여호와여 내가 매일 주를 부르며 주를 향하여 나의 두 손을 들었나이다

10 주께서 죽은 자에게 기이한 일을 보이시겠나이까 유령들이 일어나 주를 찬송하리이까 (셀라)

11 주의 인자하심을 무덤에서, 주의 성실하심을 멸망 중에서 선포할 수 있으리이까

12 흑암 중에서 주의 기적과 잊음의 땅에서 주의 공의를 알 수 있으리이까

13 여호와여 오직 내가 주께 부르짖었사오니 아침에 나의 기도가 주의 앞에 이르리이다

14 여호와여 어찌하여 나의 영혼을 버리시며 어찌하여 주의 얼굴을 내게서 숨기시나이까

15 내가 어릴 적부터 고난을 당하여 죽게 되었사오며 주께서 두렵게 하실 때에 당황하였나이다

16 주의 진노가 내게 넘치고 주의 두려움이 나를 끊었나이다

17 이런 일이 물 같이 종일 나를 에우며 함께 나를 둘러쌌나이다

18 주는 내게서 사랑하는 자와 친구를 멀리 떠나게 하시며 내가 아는 자를 흑암에 두셨나이다

     

  시편 88편은 성경에서 가장 슬프고 어두운 시편 중 하나로, 고라 자손 에스라인 헤만의 마스길입니다. 시인은 깊은 고통과 절망 속에서 하나님께 부르짖는데, 다른 애가들과 달리 희망적 결론부나 하나님에 대한 기대감 없이 깊은 흑암 속에 끝이 납니다. 그러나 이 시는 모든 고통을 하나님 앞에 토해 냄으로써 주님만 붙드는 믿음을 드러냅니다.

     

  포기하지 말라(1~9절)

  시인은 ‘구원의 하나님’이라 부르면서도 자신이 죽음의 문턱에 있다고 탄식합니다(1〜4절). 그는 자신을 무덤에 내려가는 자, 힘을 잃은 자와 같다고 표현합니다(3〜4절). 그는 깊은 웅덩이와 어두운 곳에 갇힌 것 같은 감정을 토로합니다(5〜6절). 특히 7〜8절에서는 하나님의 진노가 자신을 누른다고 표현하며, 친구들마저 자신을 떠났다고 슬퍼합니다. 그럼에도 시인은 포기하지 않고 기도합니다. 우리 삶에도 하나님이 멀게 느껴지고 모든 것이 무너져 내리는 순간들이 있습니다. 그럴 때 이 시인처럼 기도를 멈추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한 감정 속에서도 하나님을 향한 의지로 기도를 계속하는 것이 성숙한 믿음입니다. 오늘 당신이 깊은 어둠 가운데 있다 해도, 기도의 끈을 놓지 마십시오.

     

  질문하라(10~12절)

  시인은 하나님께 질문을 던집니다. “주님이 죽은 자에게 기이한 일을 보이시겠나이까?”라고 묻고, 무덤에서 주님의 인자하심과 신실하심을 알 수 있겠느냐고 반문합니다(10〜11절). 이는 죽음 가까이에 선 시인의 절규입니다. 시인은 스올에서 하나님의 공의가 알려질 수 있는지 의문을 제기합니다. 이렇게 질문하는 것은 불신의 표현이 아닙니다. 오히려 하나님 한 분밖에 믿을 분이 없기에 그분께 매달리며 호소하는 태도입니다. 한국 교회의 성도들은 질문하기를 두려워합니다. 내면의 의문을 덮어 두고 묻어 둡니다. 그러나 질문하십시오. 인생의 모든 답이 되시는 하나님께 여쭈십시오. 의문과 질문은 불신앙의 표현이 아닌, 더 깊은 관계를 맺기 위한 마중물이 됩니다. 욥, 예레미야, 하박국 등의 성경 인물들도 고통 중에 하나님께 솔직한 질문을 던졌습니다. 우리는 솔직한 심정이 담긴 질문을 통해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 성숙한 신앙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주님 앞에서 울라(13~18절)

  마지막 단락에서 시인은 “여호와여 어찌하여 나의 영혼을 버리시며”라고 절규합니다(14절). 그는 하나님의 진노가 자신을 덮치고, 재앙이 물과 같이 자신을 에워싸고 있다고 가감 없이 표현합니다(16〜17절). 가장 비극적인 것은 마지막 구절로, 완전한 고립과 단절 속에서 시편이 끝난다는 것입니다. 시편의 수많은 애가가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이 베푸실 회복을 기대하며 오히려 주님을 높이는 찬양으로 끝나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그러나 이 시야말로 진정한 믿음을 역설적으로 보여 줍니다. 그가 끝까지 주 앞에서 울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때로 깊은 영적 어둠의 심연을 경험합니다. 끝이 보이지 않는 터널을 걷는 듯하여 절망하며 괴로워합니다. 그러나 그때에도 포기하지 마십시오. 진정한 치유와 회복을 주실 주님을 눈물 속에서도 끝까지 찾으십시오.

     

  이 시편은 우리에게 ‘영적 어둠’을 경험할 때에도 믿음을 포기하지 말라는 귀중한 교훈을 줍니다. 아무리 기도해도 응답이 없다 하더라도 끝까지 기도하라고 격려합니다. 모든 것이 잘 될 때만이 아니라, 깊은 어둠 속에서도 하나님과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성숙한 신앙의 모습입니다. 우리도 고통스러운 상황에서 하나님께 솔직하게 우리의 감정을 표현하면서도, 끝까지 그분을 붙드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Recent Posts

See All
교회를 위한 지침_디모데전서 3:14-4:5

14 내가 속히 네게 가기를 바라나 이것을 네게 쓰는 것은 15 만일 내가 지체하면 너로 하여금 하나님의 집에서 어떻게 행하여야 할지를 알게 하려 함이니 이 집은 살아 계신 하나님의 교회요 진리의 기둥과 터니라 16 크도다 경건의 비밀이여,...

 
 
 
지도자를 세우는 기준_디모데전서 3:1-13

1 미쁘다 이 말이여, 곧 사람이 감독의 직분을 얻으려 함은 선한 일을 사모하는 것이라 함이로다 2 그러므로 감독은 책망할 것이 없으며 한 아내의 남편이 되며 절제하며 신중하며 단정하며 나그네를 대접하며 가르치기를 잘하며 3 술을 즐기지 아니하며...

 
 
 
선한 싸움을 싸우라_디모데전서 1:12-20

12 나를 능하게 하신 그리스도 예수 우리 주께 내가 감사함은 나를 충성되이 여겨 내게 직분을 맡기심이니 13 내가 전에는 비방자요 박해자요 폭행자였으나 도리어 긍휼을 입은 것은 내가 믿지 아니할 때에 알지 못하고 행하였음이라 14 우리 주의...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