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제는(But Now!)_로마서 3:21-31
- HKPC
- 12 minutes ago
- 3 min read
21 이제는 율법 외에 하나님의 한 의가 나타났으니 율법과 선지자들에게 증거를 받은 것이라
22 곧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모든 믿는 자에게 미치는 하나님의 의니 차별이 없느니라
23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24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속량으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은혜로 값 없이 의롭다 하심을 얻은 자 되었느니라
25 이 예수를 하나님이 그의 피로써 믿음으로 말미암는 화목제물로 세우셨으니 이는 하나님께서 길이 참으시는 중에 전에 지은 죄를 간과하심으로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려 하심이니
26 곧 이 때에 자기의 의로우심을 나타내사 자기도 의로우시며 또한 예수 믿는 자를 의롭다 하려 하심이라
27 그런즉 자랑할 데가 어디냐 있을 수가 없느니라 무슨 법으로냐 행위로냐 아니라 오직 믿음의 법으로니라
28 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하노라
29 하나님은 다만 유대인의 하나님이시냐 또한 이방인의 하나님은 아니시냐 진실로 이방인의 하나님도 되시느니라
30 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또한 무할례자도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다 하실 하나님은 한 분이시니라
31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파기하느냐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
온 세상이 죄 가운데 놓여 있음을 선언한 바울은, 이제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통해 완전히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했다고 선포합니다.
하나님이 의의 길을 열어 주셨습니다. 21절의 ‘이제는’은 어둠 가운데 있던 인류에게 하나님의 구원이 밝아 오고 있음을 알립니다. 율법으로는 도저히 의롭게 될 수 없었던 인간에게, 하나님이 은혜의 길을 열어 주신 것입니다. 이것은 이미 율법과 선지자들을 통해 예고되어 온 것이었습니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의는 어떻게 임할까요? 하나님의 의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 주어지며, 누구든지 믿기만 하면 그 의를 받을 수 있습니다(22절). 유대인과 이방인, 남자와 여자, 종과 자유인이 모두 평등합니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고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23절). 누구나 죄인입니다. 이 말은 무서운 선언이면서 동시에 어떤 죄인도 구원하시는 예수 그리스도 복음의 시작입니다.
복음의 핵심은 그리스도의 속량과 화목입니다. 24절의 ‘속량’이란 말은 값을 치러 노예를 자유롭게 해 주는 것을 뜻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은 우리의 죗값을 대신 치르신 사건입니다. 우리는 자격이 없지만, 예수님의 피로 인해 죄에서 해방되고 하나님의 자녀가 된 것입니다. 24절의 ‘값없이’라는 말이 특히 중요합니다. 하나님이 예수님의 십자가 죽음을 통해 아무 조건 없이 우리에게 주신 구원은 완전한 은혜입니다. 하나님은 예수님을 ‘화목제물’로 세우셨습니다(25절). 구약시대에는 대제사장이 해마다 지성소에 들어가 백성을 위한 피를 뿌렸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단번에, 자기의 피로 하나님과 우리 사이를 잇는 참된 중보자가 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공의를 만족시키면서도, 동시에 하나님의 사랑을 완전히 드러낸 놀라운 은혜의 사건이었습니다. 만약 하나님이 죄를 그냥 넘어가셨다면 공의롭지 못한 분일 것입니다. 하지만 예수님이 우리 대신 심판을 받으심으로써, 하나님은 공의로우시면서도 죄인을 의롭다 하시는 분이 되신 것입니다(26절).
이렇듯 구원은 믿음으로 받는 선물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물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행위는 아무 의미가 없는가?” 이에 바울은 “자랑할 것이 없다”라고 단호히 대답합니다(27절). 구원은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 믿음으로 주어지는 선물이기 때문입니다. ‘오직 믿음으로’, 이것은 종교개혁자들이 외쳤던 고백이기도 했습니다(28절). 바울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이 복음이 유대인만을 위한 것이 아님을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하나님은 유대인의 하나님일 뿐 아니라, 이방인의 하나님도 되십니다(29~30절). 복음은 민족, 언어, 문화, 나이, 배경을 뛰어넘어 모든 사람을 위한 하나님의 구원의 능력입니다. 마지막 31절에서 바울은 오해를 바로잡습니다. “믿음이 율법을 폐하는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믿음은 율법의 본래 목적을 완성합니다. 율법은 죄를 일깨우고 우리를 예수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거룩한 안내자이기 때문입니다. 1 세기 유대인들은 율법과 할례라는 종교적 특권에 기대어 구원을 확신했습니다. 하지만 그 안에는 자랑과 정죄가 있었기에 정작 하나님의 은혜는 놓치고 있었습니다. 이방인들은 자기 기준을 따라 살며 스스로 의롭다 여겼습니다. 우리의 모습도 이와 다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신앙 연수나 봉사, 종교적 열심을 내세우며 스스로를 의롭다 여길 때가 있고, 반대로 하나님 없이 착하게만 살면 된다고 여기는 이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죄를 범했기에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을 통해서만 의롭게 됩니다. 복음은 예수님의 은혜만을 붙잡게 합니다. 십자가 앞에서 우리는 누구나 같은 죄인이며, 같은 은혜를 입은 자들입니다.
이번 한 주간도 나의 자격이 아닌 예수님의 은혜로 살아가며, 그 놀라운 은혜를 주변에 흘려보내는 하루하루가 되시기를 소원합니다.
Comments